유정복 시장 취임 전후 3년치 광고비 집행내역 전수조사
뉴스하다는 2023년 6월 1일 운영주체인 인천경기탐사저널리즘센터 창립총회에서 이렇게 밝혔다.
"권력과 자본 감시는 탐사보도의 뿌리로 생각하고 지역 정치인, 관료, 기업가, 토호세력 등을 항상 지켜보겠습니다. 특히 언론인까지도 감시의 대상으로 삼아 언론인과 정관재계 유착을 뿌리 뽑겠습니다."
뉴스하다가 이 내용을 설립취지문에 담은 이유는 유착을 가장 돈독히 하는데, 정관재계에서 독립하지 못한 언론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그래서 뉴스하다는 먼저 인천시민의 언로를 막는 곳이 어딘지 찾았다. 언로를 막고 여론을 주도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았다. 바로 세금이다. 인천시는 광고비와 홍보비라는 명목으로 언론사에 주기적으로 돈을 주고 있다. 시민 세금을 갖다 시민을 대변하는 언론을 틀어 막은 것.
뉴스하다는 3년치 인천시 대변인실이 집행한 광고비, 홍보비 사용내역을 공개한다.
인천시가 어떻게 언론을 길들이는지, 이를 통해 어느 언론이 가장 길들여져 있는지 엿볼 수 있다. 특히 지역 ‘5대지’라고 자처하는 곳에 매년 20억 원이 넘는 돈을 준다.
인천의 지역언론과 행정기관은 경인일보, 경기일보, 기호일보, 인천일보, 중부일보를 소위 ‘5대지’라 칭한다. 인천시와 경기도를 기반으로 영향력이 있다고 판단하는 지역 언론이다. 시와 산하 공공기관, 10개 군구 등 기관은 5대지를 특별 관리한다. 광고를 묶어 주거나 기관장 인터뷰나 간담회도 5대지끼리 따로 잡는 경우가 많다. (2023년 7월 18일 10시 34분 독자요청 보완)
인천시는 5대지라는 가두리를 이용해 광고비로 언론사를 ‘랩독’으로 길들였다. 5대지도 적당한 견제와 감시로, 인천시와 적절한 관계를 유지하는데 힘썼다. 이러는 사이 시민의 알권리 보장 등 가장 충실해야 할 언론사 기능은 후퇴했다.
인천시가 5대지에 지급한 광고비는 2021년 25억4천830만 원, 2022년 21억9천900만 원, 2023년(1∼5월) 7억2천30만 원이다.
5대지도 회사별로 차등을 둔다. 5대지 중 가장 많은 광고비를 받은 경인일보는 인천시 전체 광고비 집행내역을 봐도 단연 돋보이는 1위다.
경인일보는 2021년 전체 광고비 예산 중 7.4%를 차지했다. 0.7%를 차지한 인천뉴스보다 10배, 0.8%인 인천투데이보다 9배 이상 예산을 받아 갔다. 경인일보는 2022년 6.9%, 2023년 5.0%를 차지했다. 2022년 경인일보의 6.9%는 0.6%인 인천in의 10배가 넘는다.
2021년 전체 광고비 93억1천431만 원 중 27.4%가 5대지에 갔다. 2022년은 87억6천280만 원 중 25.1%가, 2023년은 31억1천119만 원 중 23.2%가 5대지에게 지급됐다.
2021년 경인일보 6억9천만 원(27.1%) 인천일보 5억1천만 원(20.0%) 경기일보 4억4천300만 원(17.4%) 중부일보 3억1천400만 원(12.3%) 기호일보 2억9천800만 원(11.7%) 포토경기 1억1천만 원(4.3%) 인천일보(팜플렛 등) 1억1천만 원(4.3%) 경인일보(팜플렛 등) 4천만 원(1.6%) 포토기호 3천300만 원(1.3%) 순이다.
2021년 총액은 경인일보 7억3천만 원, 인천일보 6억 2천만 원, 경기일보 5억5천300만 원, 기호일보 3억3천100만 원, 중부일보 3억1천400만 원이다.
2022년 경인일보 6억300만 원(27.4%) 인천일보 4억6천400만 원(21.1%) 경기일보 4억800만 원(18.6%) 기호일보 2억8천300만 원(12.9%) 중부일보 2억7천100만 원(12.3%) 포토경기 1억 원(4.5%) 인천일보(팜플렛 등) 7천만 원(3.2%) 순이다.
2022년 총액은 경인일보 6억300만 원, 인천일보 5억3천400만 원, 경기일보 5억800만 원, 기호일보 2억8천300만 원, 중부일보 2억7천100만 원이다.
2023년 경인일보 1억5천500만 원(21.5%) 인천일보 1억5천500만 원(21.5%) 경기일보 1억3천500만 원(18.7%) 기호일보 1억550만 원(14.6%) 중부일보 8천650만 원(12.0%) 포토경기 6천만 원(8.3%) 인천일보(팜플렛 등) 2천만 원(2.8%) 포토기호 330만 원(0.5%) 순이다.
2023년 총액은 경기일보 1억9천500만 원, 인천일보 1억7천500만 원, 경인일보 1억5천500만 원, 기호일보 1억880만 원, 중부일보 8천650만 원이다.
3년치를 분석한 결과 경인일보가 가장 많고 인천일보, 경기일보, 기호일보, 중부일보 순이었다. 2021~2022년 총액은 경인일보가 인천일보, 경기일보보다 1억 원 정도 많고 기호일보, 중부일보는 경인일보의 50% 수준밖에 안 된다.
2023년은 아직 하반기가 남았지만 기호일보는 경기일보의 절반 수준, 중부일보는 인천일보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5대지도 수준을 달리해 광고비를 지급한 셈이다.
이렇다 보니 지역언론은 본연의 역할인 비판을 꺼려한다.
지난해 8월 8일 유정복 시장이 휴가를 떠났고 집중호우가 발생해 9일 휴가에 복귀한 일이 있었다. 지역언론은 인천시가 낸 보도자료를 그대로 받아써 <유정복 인천시장, 폭우 재난 상황 긴급 점검…휴가 하루 만에 복귀(경기일보)> <유정복 인천시장, 물난리에 휴가 중 업무 복귀(연합뉴스)>라는 기사가 나왔다.
반면, 이데일리는 <폭우에 휴가 간 유정복, 뒤늦게 복귀…시민은 물난리>라고 보도했다. 시사저널도 <폭우 속 ‘먹방·휴가’…부실대응 뭇매 맞는 지자체장들>이라는 제목으로 ‘먹방 사진’논란을 빚은 박강수 마포구청장과 유 시장을 함께 비판했다. <유정복 인천시장, 8일 휴가지서 전화 보고 받고 ‘늑장 대응’>이라는 부제가 달렸다.
2022년 6월 지방선거 기간에 논란이 됐던 유정복 시장 고가 상가 매입 관련 기사도 지역신문이 아닌 한겨레신문 기사였다. <[단독] 유정복 후보, 시흥 신도시에 22억짜리 알짜 상가 '영끌 매입'> 이 기사를 받아 쓴 곳은 상대적으로 광고비 예산이 적게 집행되는 ‘미디어인천신문’과 ‘인천투데이’였다. 5대지는 관련 내용을 다루지 않았다.
2018년 6월 지방선거 때는 박남춘 후보와 관련된 의혹 기사가 보도된 후 투표일에 임박해 박 후보 당선 가능성이 높아 보이자 삭제된 일도 있었다.
박남춘 시장 당선이 예상되자 삭제된 기사
이렇듯 5대지 카르텔이 유지되는데는, 지역신문 출신이 인천시 대변인으로 임명되기 때문이다.
허종식 국회의원은 기호일보, 경인일보, 한겨레신문에 몸 담았다가 송영길 시장 시절 대변인을 거쳐 박남춘 시장 시절 정무부시장까지 역임하고 국회에 입성했다.
2021~2022년 경인일보가 가장 많이 광고비를 받은데는, 정진오 대변인 역할이 컸을 것으로 보인다. 정 대변인은 임명 직전까지 경인일보 인천본사 편집국장 겸 정치부장을 맡았었다.
민선 6기 유정복 시장 때는 경인일보 출신인 박현수 대변인이 임명됐다. 박 대변인은 민선 8기 유 시장이 다시 당선한 뒤 인천일보 사장으로 갔다.
5대지만큼 인천시가 공을 들이는 언론사가 연합뉴스다. 연합뉴스도 인천시 대변인을 배출했다. 민선 6기 유정복 시장 시절 김창선 대변인은 연합뉴스 인천취재본부장이었다.
연합뉴스는 매년 수천만 원의 구독료(IP값)를 받는데도 홍보비 명목으로 수억 원을 지급한다. 연합뉴스를 포함한 통신사 3사의 IP값은 1억3천308만 원이다.
연합뉴스는 2021년 2억6천750만 원, 2022년 3억425만 원, 2023년 1억5천409만 원의 홍보비를 받았다. 이는 전체 홍보비 2021년 4억3천900만 원 중 60.9%, 2022년 4억2천459만 원 중 71.6%, 2023년 2억3천9만 원 중 66.9%에 달한다.
연합뉴스는 광고비도 받아 간다. 2021년에는 연합이매진, 연합연감 등 명목까지 포함해 7천900만 원을 받았다. 2022년 6천900만 원, 2023년 5천400만 원을 받아 갔다. <첨부파일 참조>
지역 신문사 중 홍보비를 받은 곳은 경인일보, 경기일보가 있다. 경인일보는 매년 일정금액(2021년 7천만 원, 2022년 7천만 원, 2023년 4천500만 원)을 받고 경기일보는 2021년에만 1천980만 원 받았다.
인천시는 언론인 단체(기자협회 등) 신문사 단체(지방신문협회 등)에도 평상시 광고를 주며 관리하고 있다. 대부분 5대지 관련 단체들이다.
관리 단체는 한국기자협회, 인천경기기자협회, 한국사진기자협회, 한국영상기자협회, 한국편집기자협회, 한국어문기자협회, 한국언론인협회, 인천언론인클럽, 한국지방신문협회 등이다.
실제 인천시를 더 많이 홍보하는 인터넷언론보다 연간 몇 차례 회보를 내는 단체에 수천만 원까지 지급하고 있다.
광고비 차등을 두는 이유에 대해 유준호 인천시 공보담당관은 "효과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부수나 이런 것들이 좀 기준이 되는 거는 맞지만요. 합리성이라는 게 단순히 뭐든지 제로베이스에서 검토하는 것만은 아니잖아요. 작년에 얼마였고 거기에 따라서 우리는 좀 점증주의적인 그런 방식을 많이 취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준은 있고 그 안에는 재량을 다 넣죠. 우리가 AI도 아니고 상황이라든지, 시정에 얼마나 많이 관심을 갖는지, 지금 상황에서는 인천시에 대한 긍정 기사만이 아니라 애정어린 조언을 해주시던, 아니면 잘한 거는 좀 긍정적으로 써주시고. 인천에 대한 기사가 잘 안 나오는데 엄청 큰 언론이라고 해서 (광고를 집행) 해야 되는 건 아니”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에 홍보비 지출이 쏠린 이유에 대해 고주룡 인천시 대변인은 “홍보 가치나 이런 걸로 봐서 예산이 집행이 되지 않습니까? 그런데 이제 연합은 신문매체와는 달라요. 연합이 인천공항을 오가는 곳에 공항철도에 내부광고망을 갖고 있어요. 바로 그냥 돈을 주는 게 아니라 공항 왔다 갔다 하는데 거기에 노출되는 광고를 한 겁니다. 또 (지역) 신문들이 서울에 가면 전광판이라는 걸 갖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광고비와 홍보비를 연합뉴스에 같이 지급하는 것과 관련해 “공보담당관에서 광고하는 건 신문이고 홍보담당관이 하는 건 조금 전 얘기한 공항철도 관련”이라고 덧붙였다.
이창호 기자 ech23@daum.net
홍봄 기자 steelers0313@daum.net
뉴스하다는 권력과 자본의 간섭 없이 진실만을 보도하기 위해, 광고나 협찬 없이 오직 후원회원들 회비로만 제작됩니다. 정기후원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주세요.